반응형

무릎을 꿇으며
두 손바닥 모아
천수관음인 앞에
비음을 두노이다.
주믄 손 즈믄 눈을
하나를 놓아 하나를 더옵기에
둘 없는내라
하나야 그 스지 고치올터라
아으으 나에게 끼쳐 주시면
놓아 쓸 자비 큰지고
[기원하는 마음]
이<천수대비가>는 다른 제목으로 <천수관음가> 또는 <도천수대비가>라고도 합니다.
내용이 시 속에 그대로 드러나 있듯이 부처님의 큰 자비를 구하는 이야기입니다.
신라시대 경덕왕 때에 희명이라는 여인이 살았습니다.
그 여인이 낳은 아이는 난 지 5년 만에 눈이 멀어 버렸습니다.
어느 날 그 어머니는 아이를 데리고 천수관음상 앞에 가서 노래를 부르게 하며 빌었습니다.
그러자 마침내 아이가 눈을 뜨게 되었다고 합니다.
불교에서의 관세음보살은 보잘 것 없는 중생들을 많이 구제하고 지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불교를 믿는 어른들은 어려운 일이 있을 때 '관세음보살' 하고 기도 하곤합니다.
또 전통적으로 우리 민족은 '치성'을 드린다고 하여 여러 신 앞에서 두 손을 모아 기도 하곤했습니다.
이 향가 개인적인 기원을 담은 내용이기 때문에 뛰어난 상징이나 은유를 포함한 문학성 보다는 아이를 사랑하며 아이에게 밝은 세상을 보여주고자 하는 어머니의 모성애가 잘 드러나 있습니다.
특히 주술적인 내용을 다른 같은 시대에 다른 향가들에 비애,
평범하고 소박한 종교적 서정시의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불교가 주는 경이로운 힘과 향가라는 형식이 주는 주술력과 마력이 합쳐져서 감동을 주는 작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노래는 어머니가 아이에게 부르도록 시킨 것으로 시 전체가 아이의 목소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어머니의 간절한 목소리가 그대로 아이의 입을 빌려 전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지요.
'천개의손, 천 개의 눈을 가진 당신은, 하나를 떼어 주시기에, 둘 다 없는 내게는 그 하나가 몹시 간절하다'는 내용의 이 노래는 관음보살의 자비를 그 주제로 하고 있습니다.
膝肹古召袂
二尸掌音毛乎支內良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白屋尸置內乎多
千隐手叱千隐目肹
一等下叱放一等肹除惡支
二于萬隐吾羅
一等沙隐賜以古只內乎叱等邪
阿邪也吾良遺知支賜尸等焉
於冬矣用屋尸慈悲也根古
[참고문헌] 나무위키. 천수대비가 연구. 한국학중앙 연구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