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극지 기후 지역
극지관
1.개마고원 -한반도 북부지역
냉온대 기후대에 속하는 개마고원은 우리나라의 높은 곳에 위치한
넓은 고원으로 고도별로 다양한 식생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해발 2,000m가 넘는 산에는 낮은 지대의 온대기후부터
정상의 한대기후까지
다양한 기후대가 나타납니다.
2. 타이가와 툰드라 -시베리아 북부 지역
타이가는 시베리아 지방에 발달하는 습원과 침엽수림이
혼재한 산림지대입니다.
전 세계 나무의 3분의 1이 자생하여 지구에 많은
산소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툰드라는 낮은 기온과 짧은 생장 계절에 영향을 받아
크게 자라지 못하는 식생 형태가 나타납니다.
키가 작은 관목, 선태류, 지의류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3.북극-노르웨이스발바드섬
북극은 남극대륙과 달리 대부분 얼음으로 덮인 바다입니다.
북극 자연 환경의 특징은 여름과 겨울에 큰 기온차, 만년설,
저지대에 툰드라 초원, 관목림, 땅 속에 영구동토층과
여름에는 녹는 표토층 등입니다.
북극은 기상, 기후, 해류순환 등의 지구환경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4.남극-남극 킹조섬 세종기지 주변
남극이란 남극대륙과 주변에 둘러싸고 있는
남극해를 이야기합니다.
남극대륙은 지구에서 다섯 번째로 큰 대륙으로서
전체면적의 약 98%가 1년 내 내 두꺼운 빙원으로 덮여 있습니다.
그래서 백세의 제 7 대륙이라 일컬어지고 있으며
북극보다 더 추운 것이 특징입니다.
극지관의 주요 동식물
1.반달가슴곰
반달가슴곰은 잡식성으로 주로 도토리나 밤과 같은
식물성 먹이를 섭취하는데 소화율이 30% 좋지 않아
배설물에 씨앗이 그대로 나와 식물의 번식 도움을 줍니다.
먹이 활동과정에서 나뭇가지를 부러뜨려 숲의 하층부까지
햇빛이 들게 해 식물이 잘 자랄 수 있게 도와줍니다.
2.삵
나무를 오르내리는 것에 능한 삵은 주로 밤에 활동하며
쥐 종류와 작은 동물 등을 사냥합니다.
고양이와 비슷한 생김새를 갖고 있지만 고양이보다
몸집이 더 큽니다.
몸 전반에 부정확한 반점이 있으며 코에서부터 이마
양쪽에 큰 무늬가 뚜렷한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3.말똥가리
말똥가리는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중대형급 맹금류입니다. 숲과 땅의 경계에 살기
때문에 침엽수림 혼합림을 선호합니다.
주로 단독 생활을 하고 낮게 날면서 작은 동물 새 등의
먹이를 발견하면 잽싸게 날아와 낚아챈 후 고목의
나뭇가지에 앉아 잡은 고기를 먹습니다.
4.칡부엉이
눈에 띄이는 긴 귀깃 가진 칡부엉이는 낮에는 앞은
트이고 뒤는 울창한 숲에서 가만히 앉아 있다가 밤에 활동합니다.
보통 매나 말똥가리 등이 쓰고 떠난 둥지에 알을 낳습니다.
최근 서식지 파괴 등의 이유로 그 수가 감소하여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습니다.
5.담비
단비는 귀여운 얼굴과는 다르게 삵과 더불어 한반도
최상위 포식자 중 하나입니다.
삵보다 크며 주로 먹이는 쥐나 작은새, 노루를 잡아먹지만
열매도 먹는 잡식성입니다.
가족 단위로 무리지어 생활하는 단비는 협력하여 먹이를
사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6.수리부엉이
수리부엉이는 올빼미과의 맹금류 중에서 가장 몸집이 큽니다.
머리 양쪽에 길게 발달한 귀깃이 특징입니다.
주로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 동물로 시력과 청력이
매우 뛰어나며 소리 없이 날아가 사냥감을 덮치기
때문에 밤에 제왕으로 불립니다.
7.순록
순록은 순록이끼라고 하는 지의류를 먹고 그 외에
마른풀이나 버드나무잎 등을 먹습니다.
암수 모두 뿔을 가지고 있는데 수컷의 뿔은 연말에,
암컷은 이듬해 봄에 빠집니다.
순록 어미의 젖에는 소젖보다 4배 많은 영양분이 들어있어
새끼의 빠른 성장을 돕습니다.
8.북극곰
북극곰은 콧속의 특수막이 차가운 공기를 따뜻하고
촉촉하게 만들어 차가운 공기가 폐로 들어가지 않도록 막아줍니다.
몸 속 약 10에서 15 cm 정도에 지방층은 단열효과를 줄뿐만
아니라 먹이 활동을 하지 못했을 때 에너지원으로 사용됩니다.
9.턱끈펭귄
턱 밑에 끈 모양의 무늬가 있는 턱끈펭귄은
경계심이 많고 공격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매일 80km 이상을 헤엄치고 수심 70 m까지 잠수해
사냥을 합니다.
다른 사람들과 달리기 뼈에 공기가 들어 있지 않아
잠수를 잘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10.전투펭귄
전투 펭귄은 주황색 부리를 가진 호기심이 많은 펭귄입니다.
현존하는 펭귄 중에 황제펭귄과 킹펭귄에
이어 세 번째로 몸집이 큽니다.
천적인 표범해표에게 벗어나기 위해 물속에서는
사람보다 약 3배 빠른 시속 24 km로 수영을 합니다.
극지관 주요 동물들을 찾아 떠나봅니다.
한반도 북부지역에서 반달가슴곰 삯, 말똥가리, 칡부엉이,
단비, 수리부엉이를 관찰하며 지나게 됩니다.
시베리아 북부지역인 타이가를 지나다 보면 툰드라 지역 근처의 실력을 보게 됩니다.
순록 다음으로 갈 것은 노르웨이 스발바드 섬에 있는 북극을 여행합니다.
북극에서 북극곰을 만나게 됩니다. 그리고 남극으로 이동합니다.
남극은 남극 킹조지섬 세종기지 주변입니다.
남극에 도착해서 턱끈펭귄과 젠투펭귄 그리고 황제펭귄의 귀여운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극지관은 한반도에서 가장 추운 지역인 개마고원을 시작으로
침엽수림이 발달한 타이가숲 툰드라 지역까지 위도를
따라 올라가며 변화하는 생태계를 보여주는 도입부 공간과
북부의 빙설기후 남극의 펭귄마을 등 생생한 극지를 소개하는
주 전시관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펭귄 수조에서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전투 펭귄과 턱끈펭귄을 만날 수 있습니다.
극지 기후란 가장 따뜻한 달의 평균 기온이 10도 미만인
기후 대로서 0~10인 툰드라 기후와 0도 미만인 빙설기후로 나뉘어집니다.
극지관 생물종수 - 조류는 2종
극지관의 환경은 습도 50에서 60%
온도는 10도시 이하
높이는 7.5 m
면적은 1,316 제곱미터입니다.
반응형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의 봄 (2) | 2023.11.28 |
---|---|
전국 소등 행사 (4) | 2023.04.20 |
[속담] 장님 코끼리 만지는 격 (12) | 2023.04.19 |
영월단종축제 (4) | 2023.04.08 |
옛날 여자 머리 꾸미기 필요한 것 (7) | 2023.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