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토종흰민들레

by happy-messenger 2025. 4. 14.
반응형

토종흰민들레


1. 토종흰민들레란?

학명: Taraxacum platycarpum

속명: 백민들레, 흰꽃민들레

분류: 국화과 다년생 초본식물

개화기: 3~5월

서식지: 전국 산지, 들판, 길가 등지 (그늘지고 습한 곳도 잘 견딤)

2. 구분법 (서양민들레와 비교)




3. 토종흰민들레의 약효 (한방 및 민간요법)


주로 사용하는 부위: 뿌리(포공영), 잎, 줄기, 꽃

주요 약효

간 기능 개선: 해독작용이 뛰어나 간 해독, 황달 개선에 사용

항염, 해열 작용: 염증 제거 및 열을 내려주는 효과

이뇨 작용: 부종 개선, 체내 노폐물 배출

항암 효과: 일부 연구에서 유방암, 간암세포 억제 효과 보고

위장 개선: 소화 촉진, 위염 완화, 변비 개선

피부질환 완화: 종기, 여드름, 습진 등에 즙이나 달인 물 사용


4. 민간요법 활용법

① 차로 마시는 법

뿌리와 잎을 말려 1~2g 정도를 뜨거운 물에 우려내 차로 마심

하루 2~3회 음용하면 간 해독, 숙취 해소에 도움

② 즙으로 복용

생잎을 깨끗이 씻고 즙을 내어 하루 110ml)

피로 해소, 염증 제거에 효과적

③ 외용

생즙을 피부에 발라 종기나 습진, 벌레 물린 곳 치료

여드름 부위에 직접 바르기도 함

5. 주의사항

체질에 따라 복통, 설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소량부터 시도

담즙 분비가 과다하거나 위산 과다 환자는 주의

임산부나 어린아이는 전문가 상담 후 복용 권장


6. 채취 및 보관법

채취 시기: 봄(4~5월)이 가장 좋음

말리는 방법: 그늘에서 서늘하고 통풍 잘 되는 곳에 널어 말림

보관: 완전히 건조된 후 밀폐용기에 보관


7. 관련 이야기 & 전통지식

예전 시골에서는 봄 해독제로 뿌리를 달여 온 가족이 함께 마시곤 했음.

‘흰꽃이 피면 좋은 일 생긴다’는 속설도 있음.

꿀벌에게는 이른 봄 중요한 꿀풀로도 여겨짐.


반응형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리태 검정콩  (2) 2023.11.23
운동화 허쉬퍼피  (7) 2023.06.09
농어촌 일자리플러스 센터  (7) 2023.04.26
군산월명공원, 월명호수 산책길  (0) 2023.02.12
탐사 보건 황사 방역 마스크 KF94  (0) 2023.02.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