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나이 이야기. 공자가 말하는 나이.나이에 관한 속담

happy-messenger 2023. 2. 6. 18:01
반응형

나이에 관한 여러나라 이야기

1.중국이야기

 

우리나라에서는 '네살 차이는 궁합도 안본다' 라는 말이 있다. 남녀의 나이 차가 네 살이면 잘 산다는 뜻이다. 중국에는 홀수를 선호하는 문화여서 남녀 연령 차이가 세 살일 때 가장 이상적으로 여긴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7'을 행운의 숫자로 여기는 반면 중국에서는 7살 차이가 나면 좋지 않다는 인식이 있다. 

 

그리고 중국에서는 35세가 넘으면 회사에 들어가기가 어렵다고 한다. 회사에 다니고 있다해도 고령자 취급을 받고 퇴사할 경우 재 취업이 힘들다고 한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35세 위기라는 말이 자주 쓰인다고 한다.

 

2.일본과 독일의 나이이야기

 

 우리나라에서 자기소개를 할 때 나이를 말하는게 일반적인데 일본에서는 먼저 나이를 말하는 경우가 드물고 상대에게 나이를 묻는 행위 또한 신례하고 한다. 가족 관계, 개인적인 상황 등도 물어보지 않는 것이 예의다. 또한 말을 편하게 하는 정도도 나이가 기준이 아니라 친함의 정도에 따라 하는데, 독일도 마찬가지이다.

 

독일에도 존대말이 있기는 하나 친해지면 나이와 상관없이 모도 너라고 호칭한다. 독일인들이 한국에 와서 가장 놀라는 것 중 하나가 한두 살 차이에도 깍듯이 존댓말을 쓰는 문화라고 한다.

 

3.이력서에 나이를 적지 않는 미국 이야기

 

 나이를 중요시 생학하는 동양권에서는 이력서에 반듯이 나이를 적도록 되어 있다. 나이를 통해 지원자의 경력을 가늠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미국의 이력서 양식에는 생년월일을 기입하는 난이 따로 없다.

 

미국은 다문화, 다인종 사회이기 때문에 사람의 생김새나 나이로 인한 차별을 하지 않는 정서가 기본적으로 들어나 있다. 

 

4.나이 먹는날 함께 먹는 음식이야기

 

우리나라는 새해 첫날 떡국을 먹는다. 모두가 나이를 먹는다는 의미와 장수의 의미가 있다.  

스웨덴은 생일날 아침 '프린센스 케이크'라고 하는 폭신하고 보들보들한 케이크를 침대에서 먹는 전통이 있다.

브라질에서는 코코아 파우더와 버터로 만든'브리가데이루'를 생일날 디저트로 먹는다.

중국에서는 생일날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로 긴 면으로 만든 '장수면'을 먹는다

 

5.세계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이야기

 

현재 세계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사람은 스페인의 '마리아 모레라' 라는 할머니다. 할머니는 1907년 3월에 태어나 무려 116세이다. 세계에서 가장 나이 많은 할머니는 프랑스의 루실 랭든 할머니였으나 1월 17일 영면에 드셨다. 그래서 두 번재로 최고령이신 모레라 할머니가 세계에서 가장 나이 많은 사람이다.

 

프랑스의 잔 루이즈 칼망 할머니는 1875년에 태어나 1997년 122세의 나이로 사셨다. 100세까지 자전거를 탔을 정도로 건강한 체력을 자랑하셨다. 장수 비결음식은 마늘. 채소. 올리브오일을 꼽았다.

 

6. 생후 9개월 만에 왕에 오른이야기

 

1421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난 헨리 6세는 생후9개얼 만에 왕이 되었다. 아버지 헨리5세가 세상을 떠난 뒤 잉글랜드 왕위로 즉위하였는데 그 때가 1422년이다. 즉위 2개월 뒤에는 외할아버지인 프랑스의 샤를 6세도 갑자기 세상을 떠나는 바람에 잉글랜드와 프랑스 두 나라의 왕이 되었다. 옹알이도 못하는 나이라 성년이 될 때까지 속부가 대신 왕권을 잡았다고 한다.

 

 

 

◎생활 속 나이 기준 

 

  • 주민등록증을 발급받는 나이 ---17세
  • 초등생 영화 관람나이 --전체 관람가는 모두 가능하나 어린이일 경우 '12세관람가'와 '15세관람가'는 보호자와 함께 영화를 볼 경우 가능
  • 운전먼허증 나이 ---제1,2종 보통 및 소형 면허의 경우 만 8세이상 가능
  • 어린이와 청소년을 가르는 기준---아동복지법은 18세, 청소년 기본법은 9세-24세, 청소년 보호법--19세 미만
  • 버스 요금 ---만6세-12세는 어린이, 만13세-18세까지 청소년이라 한다.

 

♣ 공자가 말하는 나이

 

공자는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야, 기원전 551년에 노나라에서 태어난 공자는 동양 사상의 기초가 되는 유학을 창시했어.

 

공자는 <논어공자와 그의 제자들의 탈과 행동을 기록한 유교 경전>의 '위정' 편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子曰吾十有五而志于學(자왈오십유오이지우학)하고 三十而立(삼십이립)하고 四十而不惑(사십이불혹)

하고 五十而知天命(오십이지천명)하고 六十而耳順(육십이이순)하고 七十而從心所欲(칠십이종심소욕)

 

하되 不踰矩(불유구)호라 .


"나는 열다섯 살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살에 뜻이 확고하게 섰으며,마혼 살에는 세상 욕심에 미혹되

 

지 않았고, 쉰 살에는 하늘의 명을 알게 되었으며, 예순살에는 남의 말을 듣기만 하면 곧 그 이치를 깨달

 

게 되었고, 일혼 살에는 무엇이든 하고 싶은 대로 하여도 법도에 어굿나지 않았다.

 


공자의 이 말에서부터 15세를 지학, 30세를 이립, 40세를 불혹, 50세를 지천명, 60세를 이순, 70세를 좋심이라고 부르게 되었어.
  

 

 

◐나이에 관한 속담 이야기

 

1.나이가 예순 되도록 셈이 든다

 

    - 60세가 되도록 셈이 드니 늙어 죽을 때까지 자신을 수양해야 함을 이르는 말이다.

 


2.늙은 말이 길을 안다

 

   - 나이와 경험이 많으면 그만큼 일에 대한 이치를 잘 안다.


3.사십 먹은 아이 없다

 

   -40세가 되도록 아이 노릇을 하는 사람은 없다는 뜻으로 나이가 많아지면 어른답게 행동하게 된다는말이다.

 

4.나이 덕이나 입자

 

 - 다른 것은 내세울 게 없으니 나이 먹은 것으로 혜택을 바란다.


5.한 살 더 먹고 똥 싼다

   

- 나이를 더 먹어 가면서 철없는 짓을 하는 경우를 비꼬아서 이르는 말이다.


6.세 살에 도리질한다

   

- 도리질은 한 살 전에 하는 것인데 세 살에 한다는 뜻으로, 나이에 비해 사람됨이 성숙하지 못함을 말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