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게
즐거운 날 홍게와 함께

달달한 홍게
신선함이 던해지네요.
짜지 않아 너무 좋아요.
마지막 홍게라 합니다.
이제부터는 대게가 니온다고합니다.

다리를 분리하여 놓았습니다.
게딱지의 살은 발라
비벼먹으면 너무 맛이 좋습니다.




홍게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
namu.wiki
1. 긴집게발게과에 속하는 게.
붉은대게라고도 하며, 이 이름 그대로 대게와 비슷한 모습에 뚜렷하게 붉은색을 띠고 있다. 같은 속의 대게와 겉보기에는 비슷하지만 다리가 다소 짧고 홍게는 온몸이 진홍색으로 붉다. 익힌 후에도 홍게는 대게에 비해 훨씬 붉다. 홍게와 대게의 자연교잡종을 너도 대게 혹은 청게라 한다.
2. 상세
성체 갑각길이 6~7 cm. 갑각은 전체적으로 둥근 삼각형을 이룬다.
아가미구역이 팽만이 심해 배갑의 후면이 급격히 경사진다.
배갑 위에는 작은 결절들이 흩어져 나있고 배갑의 가장자리에는 삼각형의 가시가 일렬로 늘어서 있다.
이마뿔은 배갑에서 평평하게 진출하며 가운데가 갈라져 둘로 나뉜다.
집게다리는 대칭이며 걷는다 리에 비해 짧다. 걷는 다리는 길고 납작하다.
같은 속의 대게와 형태적으로 유사하나 아가미구역이 부풀어 오른 정도와 이마뿔이 갈라진 형상에서 구분할 수 있다.
수심 480~2300m에 서식한다.
3. 식용
대게와 달리 개체수가 매우 많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다.
그냥 많은 것이 아니라 무지무지하게 많다. 세계의 각종 해저바닥을 조사해 보면 주로 바글바글 모여 있는 것이 불가사리와 홍게일 정도.
대게나 꽃게에 비해 무게당 가격이 절반 이하로 훨씬 싸며, 판매하고 남은 것은 너무 싼 나머지 홍게살을 어묵과 같은 형태로 만들어서 일본 등의 해외에 수출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동해안 근방, 특히 강원도 지역에서 대게의 대체 품목으로 먹기 시작하였으며 일반 판매를 시작하게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기본적으로 가격이 싸기 때문에 국물 내는 용도로 적합하며, 가격은 떨어져도 게라는 사실이 변하는 건 아니기에 국물맛이 끝내준다. 홍게 넣고 끓인 라면맛은 더 이상 말할 필요가 없다. 분식점의 어묵 국물에도 많이 쓰인다. 미각스캔들에 따르면, 러시아에서는 이걸 잡으면 장만 꺼내서 젓갈로 만들어 일본에 수출하고, 남는 건 쪄서 한국에 수출한다고 한다. 게살수프나 누룽지탕, 게살버거 등 게맛살로 때우는 허접한 음식이 아닌 제대로 게살을 쓴 요리라면 대부분 홍게살이 들어간다. 통조림이나 레토르트 식품으로 만들어져서 수출된다. 최근에는 다리살을 공업용으로 보내고 버려지던 딱지들로 간장게장을 만들어 편의점 등에서 판매 중이다. 참고로 대게살도 쪄서 찢어놓으면 이것과 비슷하므로 이걸 넣고 끓인 죽을 대게라고 속이는 경우도 간혹 있다. 물론 맛을 아는 사람이라면 곧장 구분한다.
맛은 일반적으로 대게보다는 한 수 아래로 치는 편. 다만 이건 비수기 때의 이야기고, 제철 홍게는 어지간한 수입 대게보다 맛이 훨씬 좋아져서 좋은 것은 마리당 3~4만 원을 호가한다. 물론 같은 제철 대게와 비교할 바는 아니지만.
홍게도 대게처럼 어획 금지 기준이 법으로 정해져 있다. 암컷은 연중 포획이 불가능하며 수컷은 7월 초부터 8월 말까지 어획이 금지된다. 너무 어린 게도 잡으면 불법이다. 아무리 대게에 비해 개체수가 훨씬 많고 가치도 낮다지만 홍게 역시 나라의 생계를 책임지는 귀중한 수산자원이기 때문이다. 홍게를 먹으러 갔는데 암컷을 팔고 있다면 바로 해경에 신고하자.
NLL과 울릉도의 심해에 많이 사는데 심해에 사는 만큼 수압에 견디기 위해 체내에 많은 바닷물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찌기 전에 구멍을 뚫고 바닷물을 빼내야 짠맛이 덜하다.
4. 명칭
붉은 대게라고 하는 명칭은 최근에 생긴 것이다. 대게가 남획으로 어획량이 크게 줄어들어 잘 잡히지 않자 많이 잡히고 크기와 모양이 비슷한 홍게에 대게 이미지를 덧씌우기 위해 만든 명칭이다. 대게가 많이 잡히는 영덕, 포항, 울진 등지에서는 홍게를 싸구려 취급한다. 붉은 대게라는 이름이 생기기 전부터 외지인들에게 홍게를 대게라고 속여서 파는 경우가 많았다. 포항시에 대게를 먹으러 갔던 사람들이 이걸 먹고 돌아오는 경우가 많다. 그나마도 러시아산. 참고로 홍게는 포항보다는 좀 더 북쪽인 속초시 등지에서 좀 더 알려져 왔다.
가격이 싸고 개체수가 많다는 것도 옛날이야기. 홍게도 대게과라 성장속도가 느리고 번식 효율이 좋지 않기 때문에 매년 어획량이 감소하고 있다.
참고문헌:나무위키홍게